[민병찬의 꿈과 희망 이야기]

추석의 기원에 대해서는 현재 신라의 가윗날 설과 전승 기념일 설이라는 두 가지의 이야기가 있다. 가윗날 기원설은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유래하는데, 신라 제3대 유리왕 때 6부를 둘로 나누어 왕녀의 통솔아래 7월 15일부터 한 달 동안 길쌈(두레삼)삼기 내기를 하고 마지막 날인 8월 15일 날 심사를 하여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술과 음식을 제공하고 회소곡(會蘇曲)이라는 노래를 부르며 놀았다고 한다.

전승 기념일 기원설은 일본 승려 원인(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의해 전해지는 이야기로, 이 책 2권에 “오직 신라에서만 8월 보름에 명절을 베풀었는데 옛날 발해와의 전쟁에서 승리한 날을 기념하기 위함이다”라고 적여 있다. 위의 두 설로 보아 추석은 비록 시기는 다르지만 신라 때부터 전해온 명절임이 틀림없다.

추석은 가배일, 가위, 한가위, 중추절 등으로 불려

객원논설위원·한밭대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추석은 가배일, 가위, 한가위, 중추절 등으로도 불린다. 한 달 동안 베를 짜서 그 양을 가지고 진 편이 이긴 편에게 잔치와 춤으로 갚았다는데서 ‘가배’란 말이 유래되었고, 그 후 ‘가위’라는 말로 변했다. ‘한가위’라는 말은 크다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진 옛말로, 음력 8월 15일, 즉 8월의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중추절(仲秋節)은 한자 뜻 그대로 가을의 가장 으뜸 된(중심의) 날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 추석은 ‘달 밝은 가을 밤’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근래에는 설날, 한식, 추석, 동지를 4대 명절이라 하여 반드시 성묘와 제사를 지내는 조상을 숭상하고 은혜에 감사하는 거룩한 날로 여겨왔으며, 오늘날까지 추석날만은 새로 지은 곡식으로 술과 떡 등의 음식을 만들고 햇과일과 어물로써 상을 차려 온 가족이 함께 성묘하고 있다. 추석에는 시절에 맞는 여러 음식이 있다. 차례를 지내기 위해서 제찬을 준비하는데 설날의 제찬과 별 차이는 없다.

다만 추수의 계절이라 햇곡식으로 밥, 떡, 술을 만든다. 철이 이르면 추석차례에 햇곡식을 쓸 수가 있고, 철이 늦으면 덜 익은 벼를 베어서 말렸다가 방아를 찧어서 햅쌀을 만들어 쓴다. 철이 늦은 해에는 미리 밭벼를 심었다가 제미를 쓰기도 했다. 햅쌀로 밥을 지으면 맛이 새롭고 기름기가 있으며 떡도 맛이 있다. 추석 떡으로는 송편을 빼놓을 수 없다. 올벼로 만든 송편이라 해서 올벼송편이라 한다. 송편 속에도 콩, 팥, 밤, 대추 등을 넣는데, 모두 햇것을 쓴다. 모두 햇곡식이기 때문에 더욱 맛이 있다.

조상 얼 되살려 감사할 줄 알며 경애와 성실 배워야

특히 추석에 제사를 지내려면 술이 꼭 있어야 하는데, 추석 술은 백주라고 하여 햅쌀로 빚기 때문에 신도주라 한다. 술을 많이 준비해야 방문하는 손님과 일행을 후하게 대접할 수 있다. 남성의 접빈객은 첫째가 술인 만큼 술을 넉넉히 마련한다. 우리네 잔치에는 술만 풍족하면 되었다. 혼인, 환갑, 장례, 명절 때에는 손님 중에 술에 취해서 몇 사람쯤 쓰러져 있으면 그 집 잔치 잘하였다고 할 만큼 술은 손님대접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된다. 추석 때면 풍년도 짐작되기 때문에 인심이 후해서 술대접을 서로 하게 된다.

추석에는 황계를 빼놓을 수가 없다. 봄에 깬 병아리를 기르면 추석 때에는 알맞게 성숙해서 제물요리에 알맞다. 다가올 날짜를 가늠해 길렀다가 추석에 잡아서 쓰게 된다. 옛날에는 명절에 어른에게 음식을 선사할 때에도 닭을 많이 썼다. 친정에 근친하는 딸이 닭이나 달걀꾸러미를 가지고 갔으며, 경사가 있을 때에도 닭을 선사하였으며, 반가운 손님이 찾아오면 닭을 잡아 대접하였다. 사위가 오면 장모가 씨암탉을 잡아 대접하곤 했는데, 추석에 백주와 황계는 좋은 술과 안주였다.

추석을 단순히 축제와 같은 명절로만 보내지 말고 조상의 얼을 되살려서 감사할 줄 알며 경애와 성실의 생활을 배우고 상부상조의 사회생활을 직접 체험하는 기회로 만들어야겠다. 너나할 것 없이 새 옷을 차려입고 집집마다 찾아가 인사하며 음식을 나누어 먹던 그때 그 추석이 그립다.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오곡백과의 풍성한 결실을 기원하던 조상들의 한가위 바람이다. 우리 사회와 경제가 늘 한가위 같기만 바란다. 민족의 대명절 한가위를 맞이하여 가정에 행복과 건강이 가득하시길 축원한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