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동구·중구 주민공청회… 근대역사관 조성 의견도

대전시는 동구 중앙동·삼성동·신인동과 중구 은행선화동·대흥동 일원에 근대문화예술특구를 조성키로 하고 9일 동구와 중구에서 각각 주민공청회를 가졌다. 사진은 중구 주민공청회 모습.
대전시가 근대건축유산을 보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조성하는 근대문화예술특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특구 범위의 재설정과 특구의 특성을 드러내는 핵심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홍보와 전시 등 방문자들에게 근대문화예술특구를 종합적으로 안내할 근대역사관 조성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제시됐다.  

대전시는 동구 중앙동·삼성동·신인동과 중구 은행선화동·대흥동 일원에 근대문화예술특구를 조성키로 하고 9일 동구와 중구에서 각각 주민공청회를 가졌다.

이날 오후 대전시민대학에서 열린 중구 주민공청회는 송복섭 도시재생지원센터장의 사회로 김병윤 대전대 건축학과 교수, 정재춘 대전예총 사무처장,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가 토론에 참여했다.

근대문화예술특구 동구 중앙·삼성·신인동 중구 은행선화·대흥동 일원 1.8㎢

토론에 앞선 주제발표에서 이희준 도시재생지원센터 사무국장은 특구지역의 여건 및 특성, 기본방향, 특화사업, 집행계획, 사후관리방안 등을 밝혔다.

근대문화예술특구는 동구 중앙동·삼성동·신인동 일원 182만1504㎡(3294필지)와 중구 은행선화동·대흥동 일원 73만6754㎡(1609필지)으로 내년부터 2021년까지 산업화와 관광화, 생활화를 추진한다.
 
대전시는 체계적인 특구 조성을 위해 ▲산업화(근대건축유산 재생프로젝트, 근대문화예술 클러스터 및 플랫폼 구축) ▲관광화(근대로의 시간여행, D-헤리티지<Heritage>모두의 축제, 특구종합 홍보) ▲생활화(젊음과 예술의 거리조성, 특구거리 환경조성)를 3대 전략사업으로 삼아 8개 특화사업과 24개 단위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시는 또 특구가 지정되면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특구 지역 내 독특한 광고물, 문화예술품 관련 시설물 설치 등이 용이해지고,  다양한 특화 사업으로 지역경제에 파급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근대문화예술특구의 총 사업비는 489억4000만원인데 현재 진행 중인 사업은 아티언스파크 등 총 16개 442억6000만원이며 근대건축물 리노베이션 등 8개 신규사업비는 46억8000만원이다. 재원별로는 국비가 95억5100만원, 시비 365억2850만원, 구비 28억6050만원으로 구성돼 있다.

사업비 확보 방안에 대해 이 사무국장은 "문화예술시장 등 총 7개사업은 기존사업으로 87억원의 국비가 확보돼 있고 철도역사문화체험공간 등 2개사업은 국가공모사업으로 추진할 예정"이라며 "시비의 경우도 보조사업 지침에 의해 보조금 집행 및 정산을 추진해 관련 예산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국장은 또 특구의 기대효과로 근대역사도시로서의 정체성 확립 지역자산 홍보 규제특례 완화 낙후지역 발전을 통한 균형발전 구축 등을 제시하며 1730억원의 경제 파급효과와 1380여명의 고용창출, 187만명의 관광객을 수요예측했다.

대전시가 근대건축유산을 보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 시키기 위해 조성하는 근대문화예술특구의 성공을 위해서는 특구 범위의 재설정과 특구의 특성을 드러내는 핵심사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 "특구 특성 드러내는 핵심사업 있어야"

이 같은 대전시의 특구 계획에 대해  김병윤 교수는 "대전의 근대유산이 공유자산으로 시민에게 돌아가야 하는데 간과하는 사이 개인자산이 돼 안타깝다"면서 "근대건축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시민의 공감대를 넓혀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재춘 대전예총 사무처장은 근대문화예술특구 지정에 환영의 뜻을 표하며 "대전의 근대유산이 보존되고 원도심을 재생하는 데 예총도 지지하며 적극 참여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 처장은 "특구의 범위를 예총이 입주해 있는 예술가의 집이나 서대전광장까지 확장해 달라"며 "특구 지정의 목표 달성 후 대전의 문화예술이 어떻게 달라질지 예측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들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박은숙 대전문화연대 공동대표 역시 특구의 범위 설정을 지적했는데 "특구 지정을 어디까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향후 사업들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특구 범위를 대전역을 중심으로 소제동 관사촌과 인동·원동시장, 서대전광장이나 서대전역까지 재조정하는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박 대표는 이어 "특구의 특성을 드러내는 핵심사업이 있어야 하는데 현재의 24개 단위사업은 기존 사업들이 대부분인 데다 근대문화예술특구만의 색깔이 부족하다"면서 "사람들을 다시 원도심으로 오게 할 핵심사업을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박 대표는 "수많은 특화거리가 있는데 근대문화예술특구가 또 하나의 특화거리가 되지 않으려면 사업의 지속성이 담보되어야 한다"며 "특구 지정 후 사후관리를 누가 어떻게 할지에 대한 명확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고 누가하느냐에 따라 사업방향도 달라질 것"이라고 조언했다.

최창희 전 사무국장 "특구 종합적으로 안내할 대전근대역사관 건립이 먼저"

플로어 의견으로 최창희 전 중구문화원 사무국장은 대전근대전시관 건립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최 전 국장은 "시민은 물론 외지인에게 근대도시 대전을 제대로 보여주려면 특구를 종합적으로 안내할 대전근대역사관 건립이 먼저"라며 "등록문화재 18호로 근대문화유산인 옛 충남도청사가 위치나 상징성 면에서 대전근대역사관으로 최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전시는 1월까지 대전시의회와 구의회의 의견을 청취한 후 2월 중 중소기업청에 특구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전국적으로 178개의 지역특화발전특구가 지정된 가운데 대전에는 특구가 한 곳도 없는 상태다.

특구 계획(안)은 대전시 홈페이지(www.daejeon.go.kr→행정정보→시정자료실→공고)에서 볼 수 있으며 14일까지 대전시 도시재생과 특구담당(042-270-6301)에게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