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여성정책개발원 실태조사…도 사업 인지도 '10~20%' 그쳐

충남도의 청년일자리 사업의 인지도가 10~20%대에 머물며 체감이 어렵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자료사진)

충남도의 다양한 청년일자리사업이 정작 당사자들에게는 체감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열악해진 취업환경 탓에 지역의 취업준비생들의 눈높이도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24일 충남여성정책개발원이 공개한 안수영 연구위원의 충남 청년 일자리 실태조사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연구의 책임자인 안 위원은 충남도 청년일자리 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해 “청년일자리 지원을 위한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지만 사업간 유기적 연계성이 낮고 정부와 지자체간 유사 프로그램이 중복되고 있다”며 “일자리사업이 완료된 이후 사후관리 정책도 미미하다. 창업정책은 물량적 성과측정 성격이 강해 생존정책에 대한 보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충남도 정책사업에 대한 낮은 인지도 혹은 체감도 역시 문제로 꼽힌다”면서 “도의 자체 청년 일자리사업은 기업체와 대졸미취업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도구로 해석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이번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도의 청년 일자리사업에 대한 인지도 및 체감도는 기업, 청년 모두에게서 상당히 낮았다. 기업체는 고용우수기업 인증사업(21.8%)을, 청년층은 중소기업 인식개선 프로젝트(11.5%)를 가장 많이 알고 있었지만, 인지도는 10~20% 정도에 그쳤다.

또 청년들은 충남도에 ‘취업현실을 바로 알 수 있도록 청년고용지표 공시가 필요하다(31.4%)’는 의견을 가장 많이 제시했으며, ‘청년 채용우수기업 재정지원 확대 및 홍보강화’는 청년(23.7%)과 기업(30%) 모두가 도에 가장 많이 바라는 지원내용이었다.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눈높이도 하향조정세가 뚜렷하다. 충남지역에서 대학을 나온 청년미취업자 상당수는 중소기업을 현실적인 취업처(46.5%)로 생각했고, 이중에서도 청년여성(51.3%)들이 두드러졌다. 

좋은 청년일자리 기준 변화…임금 ≦ 근로복지, 고용조건

청년들이 취업을 위해 고려하는 기준도 변하고 있다. ‘기업의 노동 친화적인 근로제도’와 ‘노동권 보장’이 청년을 유인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답했으며, 좋은 일자리 기준은 ‘고용안정’, ‘적정 임금’, ‘일과 생활의 균형을 위한 근로복지제도’의 세 가지 조건이 키워드였다. 임금 못지않게, 때론 임금보다도 더 고용조건과 근로복지제도를 중시하는 특성이 반영된 것.

여기에 청년 여성들은 노동시장 진입에서 성별에 따른 채용장벽, 생애주기(가족형성 등)가 동시에 시장노동과 충돌한다는 점을 우려하기도 했다.

특이한 것은 충남 지역에서 나고 자란 청년들의 경우, 일자리를 찾을 때 상대적으로 수도권 지향성이 두드러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청년들의 수도권 지향은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지역 강소기업에 대한 피부에 와 닿는 정보 확대를 통해 일자리 정보 간극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청년취업과 관련해 기업과 청년들의 인식차를 확인하는 지표도 나왔다. ‘청년 일자리문제 해결에서 누가 가장 중요한가?’라는 질문에는 기업은 ‘청년 당사자(49.0%)’를, ‘청년들은 정부 및 충청남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47.6%)’고 응답하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충남도지사라면 창출하고 싶은 청년일자리 업종’에서도 기업체에서는 제조업(32.9%)을 가장 우선했고 그 다음으로 전문·과학·기술 서비스업(13.0%)을 꼽았다. 반면, 청년들은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14.3%), 교육서비스업(14.1%),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3.6%) 등 주로 고부가가치 서비스업에 대한 선호가 뚜렷했다.

안 위원은 “청년들은 기업체의 채용정보가 직급별 임금, 근로복지제도 현황, 직원의 평균 근속년수 등 일자리 조건과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수준으로 공개돼야 한다고 의견을 표출했다”며 “충남도의 역할로는 청년일자리 창출 확대, 상세한 기업 및 일자리 정보 제공, 기업을 움직이는 정책, 지역의 생활편의 확충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