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환경, 각 농장에 적합한 치료 달리해야.. 자가 접종 관리도 미흡

대전시 유성구 성북동에 위치한 소 사육농가.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전국 농가가 큰 피해를 입은 가운데, 최근에는 구제역 확산으로 인해 우제류 사육농가의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8일 대전 유성구 성북동에 위치한 한우 사육농가의 농장주는 구제역 확산 걱정에 연실 한숨을 내쉬었다.

사료를 줄때나 소를 살펴 볼 때는 농장 곳곳에 비치해둔 소독약을 손과 옷에 뿌리는 등 혹시 모를 구제역 확산 차단에 주력하고 있었다.

한우 사육농가 농장주 A씨는 “아직까지는 구제역이 대전까지 오지는 않았지만, 만약을 대비해 농장 소독과 백신 접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대전시 관내에는 축산농가 239호에 총 5701두의 우제류가 사육되고 있다.

구제역은 공기를 통해 수십에서 수백㎞까지 확산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대전지역도 구제역 안전지대로 볼 수 없다.

또 백신 접종을 한다고 해서 즉각적으로 방역 효과가 생기는 것도 아니다.

백신 접종 시 항체 형성까지 짧게는 일주일, 길게는 2주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이 기간 백신 접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농가로 바이러스가 유입될 경우 추가 구제역 발생 위험이 크다.

여기에 공중방역수의사 등 전문 인력 부족과 같은 문제로 백신 접종이 기대만큼 신속히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특히 자체적으로 백신 접종을 하고 있는 대규모 농가들이 구제역 확산에 오히려 취약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사육 가축수가 50두 미만일 때 공중방역수의사가 백신을 접종하며, 50두 이상일 때는 농장주들의 자가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최수용 공중방역수의사(이하 공수의)는 “대규모 농장의 경우 백신접종 책임이 농장주에게 있어 접종하지 않거나 접종여부를 허위 신고하는 경우가 발생해 진위파악에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구제역 백신.

공중방역수의사가 구제역 백신을 투여하고 있다.

정부의 구제역 방역 대책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최 공수의는 “정부의 방역대책은 백신접종과 소독에만 의존하고 있다”며 “질병 발생 원인과 구제역 변종에 대한 데이터 축적을 통해 우리나라 환경과 각 농장에 적합한 치료를 달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대전시가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활동 등을 강화한다.

권선택 대전시장을 본부장으로 구제역·AI재난대책본부를 구성하고, 보건환경연구원 및 대전축협 방역차량을 동원해 사육농가, 도축장 등 소독을 지원한다.

축산 농가에는 SMS 문자 홍보와 마을 방송을 통해 농가 소독 및 외부인 출입을 금지해 줄 것을 당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