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존 백신 고집하는 이유 '의문', 바이러스 민·관 공동 연구 필요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서상희 교수.

“물 백신 계속 수입해서 사용하는 정부에 의구심이 든다. 구제역 바이러스에 대한 민·관 연구 협력 통해 우리나라에 환경에 적합한 백신 필요하다”

충북 보은에 이어 전북 정읍, 경기 연천까지 구제역이 전국 확산 조짐을 보이자 현재 방역당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백신 효능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또 정부의 방역 대책에 대해서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서상희(사진)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교수는 정부의 방역 대책에 대해 비판하며, 새로운 대책 방안의 필요성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서 교수는 ‘물 백신’ 논란에 대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백신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지난 2010년 구제역 발생 당시 정부가 영국으로부터 긴급 수입해 사용하면서 현재까지 보급되고 있다. 이 백신은 국내에서 사용 시 효능이 18%밖에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지난 2010년 11월부터 2011년 4월 사이 경북 안동을 시작으로 전국 11개 시·도에 구제역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가축 350만여 마리가 살처분됐다.

2014년에도 또다시 구제역이 발생하자 정부는 시범사업으로 아르헨티나와 러시아 산 구제역 백신을 수입해 충남 홍성의 구제역 감염 가축에 투여하면서 높은 효과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년 후 2016년, 이유 없이 사업이 중단됐다는 것이 서 교수의 설명이다.

서 교수는 “러시아에서 생산하는 구제역 백신의 경우 우리나라 환경에서 90%이상의 차단 효과가 입증되면서 많은 사기업들이 수입하려고 했지만 허가권이 있는 정부에서 이를 막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나라 환경에 효과가 높은 백신이 있는데도, 현재 사용하는 백신을 고집하는 이유에 대해 의구심이 든다”고 밝혔다.

구제역 백신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허가가 필요하다.

대전시 유성구의 소 사육 농가에서 구제역 백신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

구제역 백신 개발·연구를 독점하고 있는 정부에 대해 비판하며, 민·관 공동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주장했다.

서 교수는 “수백억 원의 예산을 들여 만들어 놓은 ‘구제역 백신 연구센터’(경북 김천 위치)는 연구 성과도 없는, 단지 공무원들의 자리 만들어주기 위한 기관이다”라며 “평소 바이러스에 대해 연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같은 결과가 나온 것이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해외의 경우를 예를 들며 “일본과 미국은 정부에서 지역 대학들이 직접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며 “질병이 발생한 해당 지역의 대학들의 빠른 연구와 대처로 바이러스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현재의 대응책으로는 구제역은 다시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피해를 줄이려면 민·관 합동의 공동연구와 공유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해야 구제역 발생 전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