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 제시

서판길 교수

김정훈 교수

흥분성 신경세포에서 PLCγ1의 작용 메커니즘. 전뇌 흥분성 뉴런에서 신호전달 핵심 단백질인 PLCγ1이 결핍되면 BDNF에 의한 신호전달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흥분/억제성 시냅스 신경전달 불균형과 시냅스 가소성 조절 문제를 유발해 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기분이 들뜨고 가라앉는 증세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조울증의 원인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조울증이 생기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뇌의 신호전달 단백질인 피엘씨감마원(PLCγ1)의 기능 이상이 조울증 발생의 핵심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이 유전자 조작 쥐를 통해 밝혀졌다. 조울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PLCγ1은 서판길 교수(울산과학기술원)가 세계 최초로 뇌에서 분리 정제해 분자적 특성을 밝힌 단백질이다. 10여년의 오랜 연구 끝에 피엘씨감마원이 조울증 발병에 관여한다는 사실과 그 메커니즘이 밝혀졌다. 

서판길 교수와 김정훈 교수(포항공대) 공동연구팀은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연구를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정신과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지인 몰레큘러 싸이키아트리(Molecular Psychiatry) 1월 31일자에 게재됐다.

서판길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유전자 조작 쥐의 제작부터 표현형 분석까지 약 10년 동안 진행한 것이다.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조울증 병인 메커니즘에서 PLCγ1의 역할을 개체수준에서 검증하고 그 메커니즘을 밝혔다. 향후 조울증 연구와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