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단체에 사전정보 유출, 우호여론 조성에 활용


대기업 ‘압박’이 아니라 ‘압박쇼’ 가능성
민간단체는 '비판언론 재갈물리기' 조직적 움직임

대전 유성구 용산동 현대아울렛 입점과 관련해, 대전시와 찬성측 민간단체가 우호여론 조성을 위해 사전에 정보를 공유하는 등 치밀한 준비를 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또한 이들이 비판논조를 유지해 온 <디트뉴스24> 등 지역 언론에 재갈을 물리기 위해 조직적으로 항의방문이나 전화, 비난 댓글 달기를 유도하고 실제로 실행에 나선 점도 확인돼, 파장이 예상된다.

지난 2015년 5월 특혜논란으로 중단됐던 현대아울렛 건립계획은 지난 13일 현대백화점그룹(이하 현대)이 “(올해 1월 제출한 수정계획에 대해) 대전시가 명확한 회신이 없을 경우, 사업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압박에 나서면서 재점화됐다.

사흘 후인 지난 16일, 대전시는 “행정절차를 진행하겠다”며 현대측 개발계획에 대한 사실상의 수용 의사를 밝혔다. 이 같은 대전시 발표는 매우 전격적인 것으로 “대기업 압박에 대전시가 굴복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런데 찬성 측 민간단체는 현대가 대전시 압박에 나섰던 13일, ‘대전시가 16일에 기자회견을 열 것’이라는 사실을 미리 예측하고 있었다. 심지어 대전시가 현대의 개발계획을 수용할 것이라는 구체적 내용까지도 미리 파악하고 있었으며, 13일부터 16일이라는 사흘 동안 찬성여론 조성을 위해 조직적으로 움직이기도 했다. 

이 같은 내용은 찬성 측 민간단체가 내부게시판으로 사용한 ‘지역 부동산 관련 인터넷 커뮤니티’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이들은 비판언론인 <디트뉴스24>를 겨냥하기도 했다. 본보가 14일자 기사와 칼럼 등을 통해 특혜논란 가능성을 언급하자, 대전 북부지역 독자임을 자칭하는 시민들의 항의전화와 비판 댓글이 쇄도했다. 특혜시비 가능성을 언급하는 매우 원론적 지적이었음에도 원색적 비난이 쏟아졌다.

이 또한 찬성 측 민간단체의 조직적 여론몰이라는 것은 그들 내부 게시판에 그대로 드러나 있다. 항의전화와 댓글을 독려하고, 단체 운영자가 본사 항의방문 내용을 회원들에게 공지한 내용까지 모두 드러나 있다.

그림1. 대전시의 3월 16일 현대아울렛 발표 이전에, 이 내용이 외부에 유출됐음을 알 수 있다.

디트뉴스에 대한 항의방문과 전화, 댓글이 조직적으로 펼쳐졌으며, 대전시 발표 이전에 이미 축하현수막 설치까지 준비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현대아울렛 개발계획과 관련된 대전시 행정 동향과 자료가 민간단체에 사전에 유출되고, ‘시정 최고 의사결정자’의 판단까지 함께 유출됐다는 점에서 행정의 도덕적 해이가 위험수위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대전시로부터 유출된 정보가 비판언론 등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활용됐다는 점에서 ‘사업자와 대전시, 그리고 민간단체까지 포함하는 3각 커넥션이 존재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현대가 대전시 압박에 나선 13일, 대전시 내부사정에 밝은 지역 정치권 한 인사는 “민간사업자가 공개적으로 인·허가권자를 압박하는 모양새 자체가 어색하기 그지없다”며 “사업자가 압박하고 대전시가 물러서는 모양새를 취하기로 사전에 양해 내지 협의됐다고 본다”고 지적한 바 있다.

대전시가 여론몰이를 위해 언론을 홀대하고 민간단체에 정보를 흘렸다는 점에서 지역 언론계 관계자들도 공분하고 있는 분위기다.

대전시를 출입하는 한 중견 기자는 “대전시가 출입기자들에게 사전에 알려준 정보라고는 기자간담회 당일 오전 ‘과학경제국장 브리핑’이라고 적어 놓은 ‘아홉 글자’ 뿐”이라며 “언론인이 아닌 민간인들이 사흘 전부터 간담회 계획과 그 내용까지 속속들이 알고 있었다면, 대전시가 가지고 있는 언론관 자체부터 뜯어고쳐야 할 일”이라고 개탄했다.

한편, 이번 사건과 별개로 용산동 현대아울렛 개발계획에 대한 특혜논란은 시민단체와 정치권으로부터 불붙기 시작했다.

권선택 대전시장의 ‘측근’으로 불리는 전직 국회의원부터 구청장 출마예정자까지 특혜의혹에 불을 지폈다. 공당인 정의당도 17일자 성명을 통해 “대기업 유통점포의 입점은 지역 경제 활성화가 아니라 지역자본의 역외 유출과 지역 중소상인 말살, 지역주민의 비정규직 채용 등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뿐”이라며 “용도변경에 따른 토지가 상승만 2000억 원에 달하는 특혜”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