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인구가 최근 5년 사이 2만5,695명 줄었다. 통계청의 e-지방지표에 따르면 대전지역 총인구는 2013년 153만2,811명에서 올해 8월 말 기준 150만7,116명으로 감소했다.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구가 줄어든 게 당연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대전은 30~40대 인구 감소 폭이 크다는 데 문제가 있다. 대전의 30~49세 주민등록인구는 2013년 51만7,943명에서 올해 8월 말 47만8,996명으로 3만8,947명이나 줄었다.

대전과 대조적으로 인근 세종시 인구는 5년 사이 배 이상이 늘어난 26만9,102명이다. 30~49세 인구도 5년 전 3만9,703명에서 10만327명으로 6만여 명 많아졌다. 대전과 수도권의 젊은 세대가 대거 세종으로 옮겨 간다는 이야기다. 대전교육청이 밝힌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원서접수 학생 수만 봐도 2년 새 2,453명이 줄었다. 대전 인구 150만 명 붕괴가 멀지 않았다는 신호다.

대한민국 전체가 인구 절벽을 호소하지만 충남은 8월 말 현재 210만 명이며 혁신도시 개발의 영향으로 충북은 인구 160만을 바라보고 있다. 세종과 충남·북이 행복도시 성장의 효과를 톡톡히 보는 반면 대전만 쇠락하는 게 아닌가 걱정스럽다. 대전의 인구 문제를 분석한 육동일 충남대 교수는 대전시의 일관성 없는 정책들이 인구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육 교수는 "대전이 미래 일거리와 먹거리를 만들지 못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20~30대는 일자리를 찾아 대전을 떠나고 30~40대 학부모는 자녀교육을 위해 수도권과 세종으로 아이를 데리고 이사하다 보면 대전의 도시 경쟁력은 사라지고 지역경제는 자연 붕괴될 수밖에 없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계획 수정, 호남선 KTX 서대전역 미경유, 도시철도2호선 착공 지연, 유성복합터미널 사업 무산 같은 정책 혼란이 시민의 불안감을 높이고 도시 침체를 가중시키는 것이다. 대전의 인구감소를 단순한 출산율 저하 탓으로 돌리면 안 되는 이유다.

지금이라도 대전시의회가 인구문제에 관심을 갖고 특별위원회를 만든 것은 다행스럽다. 지난 7월 구성된 인구특위는 토론회와 회의를 통해 대전시의 인구정책을 진단하고 대안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인구특위가 성과를 거두려면 형식적 보고와 질의응답 수준에 그쳐선 안 된다. 공무원뿐 아니라 전문가들을 참여시켜 인구 감소의 원인부터 분석한 뒤 대전만의 맞춤형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대전의 정체성을 정립해 재도약할 수 있는 비전을 보여주는 특위가 되길 기대한다.

대전시의회 인구증가 방안 마련을 위한 특별위원회(위원장 최선희)는 19일 제2차 회의를 열고 대전시 인구정책에 관한 보고를 청취했다.

저작권자 © 디트NEWS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